본문 바로가기

함께 읽고 싶은 것들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 몽실언니 작가 권정생

반응형

아름다운사람 권정생

 

 

동화가 왜 그렇게 어둡냐고요?
그게 진실이기에
아이들에게
감추는 것만이 대수는 아니지요.

좋은 글은
읽고 나면 불편한 느낌이
드는 글입니다.

 

 


 

 

1937년 도쿄 빈민가에서 태어나 나무장수, 고구마장수, 담배장수, 재봉틀가게 점원, 하고 싶은 일보다 할 수밖에 없는 일이 더 많았던 시절. 생각지도 못한 19세 나이에 늑막염과 폐결핵에 걸렸다.

 

 

 

돈을 벌려고 집을 나간 동생
부모님께 도저히
그 이상 고생을 시켜드릴 수 없어
차라리 죽길 바라며
밤마다 교회당에 가서 
하느님께 기도했다.

 

기독교에 대한 독실한 믿음을 바탕으로 쓰인 그의 작품들은 자연과 생명, 어린이, 가난한 이웃들에 대한 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그의 주인공들은 힘없고, 약한 존재들이었지만, 마지막에는 자신들을 희생시켜 상대방을 살려냄으로써 아름다운 영생을 얻게 된다. 

 

 

1965년 병든 몸으로 홀로 집을 나온 후 걸식과 떠돌이 생활을 시작한다. 하지만 그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깡통에 밥을 꾹꾹 눌러 담아주던 식당 아주머니, 길에 쓰러져 있을 때 물을 주신 할머니, 공짜로 강을 건너게 해 준 뱃사공 할아버지, 자신보다 하등 나을 것 없던 가난한 사람들이었지만, 죽을 생각만 하던 권정생을 다독여주던 그 사람들...

 

29살 경북 안동에 정착. 마을교회 종지기로 일하며 문간방에서 홀로 생활하던 시절. 그 춥고 외딴방에 놀러 온 작은 친구들이 있었다. 뚫린 창호지 구멍으로 뛰어들어온 개구리, 겨울이면 따뜻한 아랫목에 들어와 같이 잠들던 생쥐까지.

 

 

개구리든 생쥐든 
메뚜기든 굼벵이든
같은 햇빛 아래 
같은 공기와 물을 마시며
고통도
슬픔도
겪으면서
살다 죽는 게 아닌가.

 

 

극심한 고통과 고독 속에서 작은 친구들을 벗 삼아 글을 쓰기 시작했다. 1969년 그의 첫 동화 주인공은 흰둥이가 싸놓고 간 똥이었다. 

 

 

제1회 기독교 아동문학상
제1회 한국아동문학상
제22회 새싹문학상 

 

 

동화작가로 유명해지고, 돈도 벌었지만 그의 평생 공간인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주인공들을 계속 만들어냈다.

 

 

깜둥 바가지
벙어리
전쟁고아
늙은 소
거지
장애인
외로운 노인

 

 

 

2007년 5월 17일 조용하고 한적한 마을에 사람들이 몰려오기 시작했다. 동네 사람들은 궁금해했다. 

"우리는 한 동네에 있었어도 그 사람이 유명한 줄 몰랐는데... 돈도 많이 벌었다고요? 참 가난했어요. 평생을 옷 한별로 지냈는데..."

 

 

 

하느님께 기도해 주세요.
제발 이 세상,
너무도 아름다운 세상에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없게 해 달라고요.
기도 많이 해주세요.
안녕히 계십시오.

 

 

 

권정생 선생님은 한결 같이 '있는 그대로' '꾸미지 않고' 보여주는 그런 삶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 게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선생님의 이름처럼 말이죠.

 

 

正生
아동문학가 故권정생

 

 

 

 

 
강아지똥
『강아지똥』은 아동작가 권정생의 대표작으로,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는 세상에서 가장 버림받는 존재인 '강아지똥'도 알고 보면 정말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러주는 그림책입니다.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것처럼 여겨지는 강아지똥이라는 한낱 미물이 민들레 꽃을 피워내는 데 소중한 거름이 된다는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화가 정승각의 그림은 의인화된 강아지똥과 강아지똥이 만나는 주변 친구들의 모습을 감동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저자
권정생
출판
길벗어린이
출판일
2014.04.18
 
몽실 언니
1969년 동화 <강아지 똥>으로 기독교지 '기독교교육'의 제1회 아동문학상을 받으며 문단에 나온 동화작가 권정생의 『몽실 언니』. 분단시대 한국문학의 가장 사실적이고 감동적 작품으로 평가받아온 저자의 대표 동화 <몽실 언니>를 새롭게 만난다. 한국전쟁 전후를 배경으로 우리 현대사의 굴곡이 고스란히 녹아진 처참한 가난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고 이웃과 세상을 감싸 안은 한 소녀의 위대한 성장기다. 일제강점기가 끝나고 일본에서 돌아온 몽실의 아버지는 멀리 돈을 벌러 떠났다. 몽실의 어머니는 먹고 살기 위해 몽실을 데리고 다른 남자와 살러 갔다. 새아버지는 동생 영득이가 태어나자 몽실을 모질게 대했다. 결국 몽실이는 절름발이가 된 채로 홀로 친아버지에게로 돌아오는데…….
저자
권정생
출판
창비
출판일
2012.04.25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