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생각하고 싶은 것들

전두환이라고 쓰고, 학살자라고 읽는 세상

반응형

전두환 고향 주민들, 전두환 기념 표지석에 학살자라고 쓰고 철거 운동

 

5·18 광주민주화 운동
학살 책임자인 전두환

전두환 고향 주민들은
그들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일해공원 표지석에
'학살자'라는 글귀와 함께
'철거'를 외쳤다!

 

합천군 합천읍 황강변에 있는 옛 새천년생명의 숲(현 일해공원)에서 군민들은 옛 명칭 복원을 요구하였고 일해공원 비석의 철거 딱지 부착과 학살자라는 문장까지 비석에 표기하였습니다.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옛 새천년생명의 숲은 2000년에 조성되었고. 몇 년 후 전두환의 아호(일해)를 따서 일해공원으로 변경을 하였다. 하지만 시대가 달라졌기에 이제는 전두환의 고향 주민들도 이대로 가만히 있을 수는 없는 상태가 되었다. 표지석에 분필로 '학살자', '합천이 부끄럽다', '저의 할아버지는 학살자였습니다' 등 을 적었고,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상황들이 발생되고 있다. 합천군민운동본부는 합천군에 공원 명칭 변경을 촉구했지만 1년이 넘도록 아무런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합천군민들은 일해공원 명칭 변경과 표지석 철거를 요청하고 있다.

 

 

 

전두환 고향 주민들, 일해공원 표지석에 '학살자' 쓰고 '철거' 딱지

[영상-사진] 생명의숲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 18일 저녁 명칭변경 촉구대회 열어

www.ohmynews.com

 

 

 


 

 

전두환 간략 프로필

 

  • 출생: 1931년 1월 18일, 경상남도 합천군 율고면 / 사망: 2021년 11월 23일
  • 1950.2 대구공업고등학교 기계과 졸업(노태우 대통령 또한 대구공고 출신으로 3학년 1학기까지 재학)
  • 1951.3 육군사관학교 11기
  • 1974.1 준장진급, 1977.2 소장진급, 1980.3 중장진급, 1980.6 대장진급
  • 1980.8.27~1981.2.24 제11대 대한민국 대통령
  • 1981.2.25~1988.2.24 제12대 대한민국 대통령 

 

11대, 12대 대통령 선거는 모두 간선제로 치러졌으며 전두환은 윤보선, 최규하와 함께 직접선거 없이 대통령에 당선된 세 사람 중 하나다. 그중에서도 전두환은 사실상 유일하게 국민의 직접선거를 통하지 않고 대통령에 선출되어 임기를 마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것은 독재로 비판받는 이승만, 박정희 전 대통령조차 국민의 직접선거로 치러진 대선에서 각각 2회, 3회 당선되었다는 것과도 비교되는 부분이다. 그만큼 전두환의 정도가 더 심하다가 볼 수밖에 없는 사실이다. 

 

 

간선제

국민을 대표하는 선거인단을 만들어
그들에게 선거를 치르도록 하는 제도!

 

우리나라에서는 1대, 4대, 8~12대 대통령 선거에서 간선제를 실시했다. 1대와 4대는 국회에서, 8~11대에서는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12대는 대통령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았다. 하지만 1987년 6월 대규모 민주화 시위인 '6월 민주 항쟁'이 전국적으로 발생한 이후, 13대부터 직선제로 대통령을 선출하게 되었다. 

 

전두환 당선 시 득표 수준

제11대 대통령 선거
득표수(득표율): 2,524(99.37%)

제12대 대통령 선거
득표수(득표율): 4,745(90.11%)

 

학살을 통해 정권을 빼앗은 전두환 정부는 시작부터 끝까지 반인권, 반민주적이었다고 밖에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사망하기 전까지도 자신의 잘못과 실수에 대한 반성의 모습을 볼 수 없었고, 끝까지 제대로 된 사과도 하지 않은 채 사라졌다. 이 현상 자체가 너무나 말도 안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 그 의 손자가 대신 사과 하는 일들이 연출된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KAL858기 실종 사건 및 추정 동체 수색 중단에 관하여!

이야기하기 전 2023년 요즘 TV를 보면 과거에 있었던 사건, 사고를 주제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당신이 혹하는 사이', '다크 투어

thebeautyoflife.tistory.com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