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계 민주주의 지수
영국의 유명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06년부터 167개 국가를 대상으로 5개 부분으로 구분하여 민주주의 지수를 발표해 오고 있습니다.
※ 분류기준(총 10점 만점)
1) 8점 초과: 완전 민주주의
2) 6점 초과 8점 이하: 결함 있는 민주주의
3) 4점 초과 6점 이하: 민주·권위주의 혼합 체제
4) 4점 이하: 권위주의
※ 이코노미스트
1843년 영국에서 창간된 국제 시사지로 전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계의 지도자층이 가장 애독하는 잡지이며 영향력이 가장 큰 매체로 평가받고 있다.
이코노미스트 부설 기관인 "인텔리전스 유닛" 이 20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 지수 하락
1. 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
권위주의 핵심 나라인 러시아, 중국, 그리고 북한의 순위가 가장 먼저 눈에 뜨였습니다. 북한이 167위가 아닌 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2. 대한민국 민주주의 지수 변화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은 12년부터 22년까지 전체 점수만 기준을 할 경우 큰 변동 없이 지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2년 세부 항목에서 정치, 문화 영역에서 매우 큰 하락세가 확인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 정치문화는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는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는 것"
3. 민주주의 지수 하락 원인
현 정부는 자유주의, 민주주의, 법치주의 등을 아주 쉽게, 가볍게 선전하면서도 실질적인 국정 운영은 이러한 보편적 가치들과 자주 어긋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해야 할 야당 또한 제 역할을 못하고, 비방과 정쟁에만 몰두하는 일그러진 언행으로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것은 매한가지라고 생각합니다.
※ 2022 민주주의 지수 보고서에서 언급한 대한민국은
"정치인들이 합의를 모색하고 시민의 삶을 개선하는 것보다는 정적들을 제거하는 데에 정치적 에너지를 쏟는 한국 정치문화의 타락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 박근혜 탄핵을 이끌어낸 촛불시민들이 독일 에버트재단의 국제 인권상을 수여받고, 성숙한 민주주의 문화라고 찬사를 받은 것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4. 생각해야 할 것은?
민주주의나 민주주의 지수 등에는 사실 큰 관심은 없습니다. 하지만 세계에서 바라보는 대한민국에 대한 시각은 현재 우리가 느끼고 경험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모두가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면 이 위험에 대해서 우리는 방관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고민하고 행동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정치적 관심 가지기!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
반응형
'함께 생각하고 싶은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학원가에서도 인종차별의 만행이 일어나고 있다! (1) | 2023.04.04 |
---|---|
KAL858기 실종 사건 및 추정 동체 수색 중단에 관하여! (4) | 2023.03.18 |
무엇이 우리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들까요? (0) | 2023.03.06 |
제 7 광구를 아시나요? (0) | 2023.02.26 |
노화를 늦추기 위한 방법?꾸준한 지속적인 운동이 답이다!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