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 생각하고 싶은 것들

대한민국 20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 하락(24위, ▼8단계)

반응형
세계 민주주의 지수

영국의 유명 시사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06년부터 167개 국가를 대상으로 5개 부분으로 구분하여 민주주의 지수를 발표해 오고 있습니다. 

※ 분류기준(총 10점 만점)
1) 8점 초과: 완전 민주주의
2) 6점 초과 8점 이하: 결함 있는 민주주의
3) 4점 초과 6점 이하: 민주·권위주의 혼합 체제
4) 4점 이하: 권위주의
이코노미스트
1843년 영국에서 창간된 국제 시사지로 전 세계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계의 지도자층이 가장 애독하는 잡지이며 영향력이 가장 큰 매체로 평가받고 있다.

이코노미스트 부설 기관인 "인텔리전스 유닛" 이 20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 지수 하락

1. 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

2022년 세계 민주주의 지수

권위주의 핵심 나라인 러시아, 중국, 그리고 북한의 순위가 가장 먼저 눈에 뜨였습니다. 북한이 167위가 아닌 게 신기할 따름입니다. 

2.  대한민국 민주주의 지수 변화 

대한민국 민주주의 지수 변화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국은 12년부터 22년까지 전체 점수만 기준을 할 경우 큰 변동 없이 지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2년 세부 항목에서 정치, 문화 영역에서 매우 큰 하락세가 확인됩니다. 원인이 무엇일까요? 

※ 정치문화는 "민주주의 원칙을 지지하는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는 것"

3. 민주주의 지수 하락 원인

현 정부는 자유주의, 민주주의, 법치주의 등을 아주 쉽게, 가볍게 선전하면서도 실질적인 국정 운영은 이러한 보편적 가치들과 자주 어긋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해야 할 야당 또한 제 역할을 못하고, 비방과 정쟁에만 몰두하는 일그러진 언행으로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것은 매한가지라고 생각합니다. 

※ 2022 민주주의 지수 보고서에서 언급한 대한민국은
"정치인들이 합의를 모색하고 시민의 삶을 개선하는 것보다는 정적들을 제거하는 데에 정치적 에너지를 쏟는 한국 정치문화의 타락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불과 몇 년 전 박근혜 탄핵을 이끌어낸 촛불시민들이 독일 에버트재단의 국제 인권상을 수여받고, 성숙한 민주주의 문화라고 찬사를 받은 것과 대비되는 대목이다. 

"말뿐인 자유민주주의 기사 참조"

 

4. 생각해야 할 것은?

민주주의나 민주주의 지수 등에는 사실 큰 관심은 없습니다. 하지만 세계에서 바라보는 대한민국에 대한 시각은 현재 우리가 느끼고 경험하고 있는 것과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모두가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면 이 위험에 대해서 우리는 방관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고민하고 행동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정치적 관심 가지기!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