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GRIT(그릿) by 앤절라 더크워스
책 GRIT(그릿)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아마 최근에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서 접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GRIT의 영향력, 매력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1. GRIT_시작은 TED
※ 발행 시기
1판 1쇄 발행 2016년 10월25일
2판 1쇄 발행 2019년 2월 20일
2판 29쇄 발행 2021년 11월 18일
먼저 책의 발행 시기를 언급한 이유는 GRIT이 책이 아닌 다른 플랫폼을 통해서 처음으로 소개되었기 때문입니다. 2013년 TED(미국의 비영리 조직에서 운영하는 일종의 강연회)라는 플랫폼을 통해서 작가 앤절라 더크워스의 GRIT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TED(테드) https://www.ted.com/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양한 주제를 자유롭게 강의하는 영상들을 무료로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언어 자막 기능이 있어 누구라도 쉽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저는 영어 공부를 위해 TED를 자주 이용했었고 13년도에 우연히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당시 능력 개발, 성공과 관련된 영상들에 관심이 있었고 GRIT 또한 관련 내용들로 채워져 있어 반복적으로 오랫동안 시청하였습니다. 영어 공부의 영향이 강했기 때문에 몇 년 동안 꾸준히 시청 이후에는 GRIT은 자연스럽게 잊혀지게 되었습니다.
정확한 시점은 생각나지 않지만 오랜만에 TED를 방문해보니 GRIT 영상이 가장 많이 시청한 인기 있는 25가지 영상 안에 포함되었다는 사실을 보게 되었습니다. GRIT이 이렇게 까지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인가에 대해 놀라움을 느꼈습니다. 처음 그릿을 접했던 2013년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부분이었지만 그래서일까요? 좀 더 빨리 GRIT 책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2. GRIT_TED 영상에서
근성(GRIT)은 목표를 향해 오래 나아갈 수 있는 열정과 끈기다. 근성은 해가 뜨나 해가 지나 꿈과 미래를 물고 늘어지는 것이다. 단지 일주일 동안이나, 한 달만이 아니라 몇 년에 걸쳐,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진짜 열심히 일하고 노력하는 겁니다. 근성은 삶을 단거리 경주가 아닌 마라톤처럼 인생을 사는 겁니다.
근성(GRIT)을 키우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성장 마인드 셋"이라는 것인데요. 능력은 타고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라 노력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는 믿음입니다. 실패를 하더라도 그것이 끝이 아니라는 것을 믿고 계속 앞으로 전진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입니다.
2013년 처음 GRIT을 접했을 때와 지금의 저는 많은 것이 달라졌습니다. GRIT를 대하는 생각과 믿음 또한 달라지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제가 해야 할 일, 반드시 달성하고 싶은 목표를 위해 GRIT은 꼭 필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Leaving a high-flying job in consulting, Angela Lee Duckworth took a job teaching math to seventh graders in a New York public school. She quickly realized that IQ wasn't the only thing separating the successful students from those who struggled. Here, she
www.ted.com
3. GRIT_책 본문 중에서
한 작가의 이야기를 시로 옮긴 내용입니다. GRIT의 핵심을 비유적으로 잘 표현한 내용 같아 적어 봅니다.
글쓰기의 어려움은 지면에 옮겨진 자신의 형편없는 글과 서툰 글을 보고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다음 날 잠에서 깨어 형편없고 서툰 글귀들을 들여다보고 다듬어서 너무 형편없고 서툴지 않게 고치고 다시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또 다음 날이 되면 조금 더 그 글을 다듬어서 그리 나쁘지 않게 만든 다음 다시 잠자리에 든다.
그리고 그 글을 다시 다듬어 평균 수준으로 만든 다음에 한 번 더 다듬는다.
운이 좋다면 좋은 글을 얻을 수도 있으리라.
그리고 거기까지 했다면 성공이다.
천재를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부단히 탁월성을 추구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면 여러분도 부단히 노력할 마음만 있다면 천재가 될 수 있다.
이 말에 동의하시나요?
책에는 다양한 연구와 엄밀한 테이터 등을 제시하면서 구체적인 내용들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꼭 한번 GRIT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