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생각하고 싶은 것들

박병선 박사의 업적, 외규장각의궤 도서의 귀환과 사라졌던 직지의 발견

THE BEAUTY OF LIFE!_삶의 묘미 2023. 5. 28. 04:43
반응형

빼앗긴 책 외규장각을 되찾고 사라 졌었던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한 박병선 박사님

 

 

내 인생에서
가장 잊을 수 없는 순간은
파란 천이 씌워진 의궤를
발견했던 때였다.

 

 


 

박병선 박사는 누구인가

고 박병선 박사

 

 

1923년 3월 25일 전라북도 전주 출신으로 프랑스 국적을 가진 역사학자이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프랑스 유학 비자를 받은 최초의 여성이다. 2011년 11월 22일 88세의 나이로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했다.

프랑스에서 가지고 있는 직지심체요철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 활자 인쇄본임을 새롭게 밝혔고, 숨겨져 있었던 외규장각 의궤 도서를 찾아내 한국으로 반환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수행했다.  

 

 


 

외규장각 의궤 도서 

 

외규장각 의궤 도서란?

 

외규장각 의궤 도서

 

1776년 정조는 왕립 도서관 규장각을 설립하고 1782년 강화도 행궁(왕의 별장)에 부속 시설인 외규장각을 마련했다. 전략적 요충지이자 천혜의 방어요새인 강화도에 외규장각을 세워 왕실의 주요 전적과 귀중품, 필사본을 영구보존하기 위함이었다. 의궤는 왕위 계승, 관혼상제, 옥새 제작과 같은 왕실의 의전을 기록한 화보 의례집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지만 그 체계와 섬세함은 팔만대장경, 조선왕조실록과 더불어 손꼽히는 유산 중에 하나이다. 

 

외규장각 의궤 도서 발견 및 반환

 

네가 찾는다는
옛날 중국 책 같은 게
별관에 많이 있더라~

 

 

동료의 한마디에 귀가 번쩍 뜨인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한국인 사서 박병선 박사, 프랑스가 1866년 병인양요 시절 약탈한 도서인 '외규장각 의궤'를 프랑스 국립도서관 베르사유 별관 창고에서 발견하였다. 

 

 

3,000만 권이 넘는
도서관의 책들을
20년 간 일일이 확인하며
기적같이 알아낸

297권의 책
외규장각 의궤

 

책 제목을 정리해 한국 기자들에게 알리고 한국 대사관을 찾아가 반환 협상을 독촉한다. 한국 정부의 냉담한 분위기에서 프랑스 국립 도서관은 서둘러 책을 수선하고 파리 본관으로 옮길 계획을 세운다. 그 후 프랑스 국립 도서관은 한국인 사서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였다. 1979년 사서직을 해임시키고 위규 장각 도서 열람을 중지시킨다. 지독한 방해 속에서도 10년 만에 297권 의궤의 목록과 내용을 마침내 정리하게 되었다.

 

2011년, 약탈당한 지 145년, 찾아낸 지 34년, 반환 협상 20년 만에 297권 외규장각 의궤가 한국으로 돌아왔다. 
5년마다 대여를 갱신해야 하는 반쪽짜리 모습으로...

김영삼 당시 대통령과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통해 영구대여 방식으로 반환에 합의하였다. 

 

 

우리 의무는 아직 남았습니다.
의궤가 한국에 영원히
남도록 노력해 주기를
부탁드립니다.

 

 

 


 

 

직지심체요절 발견

박병선 박사는 프랑스 국립도서관 사서가 되어 외규장각 의궤를 찾아다니던 중 우연히 직지심체요절을 발견해 1972년 직지심체요절이 요하네스 구텐베르크의 42행 성서보다 78년이나 빠른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직지심체요절을 국립도서관에서 발견해 이야기하였지만 처음에는 아무도 믿지 않았다. 결국, 박병선 스스로 직지가 최초의 금속활자본임을 입증해야 했다. 책 안에서 '이 책은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되었다'라고 적힌 내용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청주시 택지 공사 도중 우연히 발견된 한 절터에서 관련 유물들이 발굴되었고, 절터가 원래 흥덕사였음이 밝혀지면서 직지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인 것으로 증명되었다.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