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를 늦추기 위한 방법?꾸준한 지속적인 운동이 답이다!
1. 운동; 생활의 변화가 시작되다.
운동 좋아하시나요? 현재 우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을 즐길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부족해서 여유가 없어서 운동을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2020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근력운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30대에서 40대로 가까워지니 몸도 예전 같지도 않고 쉽게 지치는 경향이 있어 운동을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습니다. 꾸준한 운동의 결과일까요? 몸이 건강해지고 있다는 느낌을 일상생활을 하면서 바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저의 라이프 스타일 또한 이전보다는 좀 더 활동적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2. 체력 저하 & 피곤함의 원인; 운동 부족? 나이?
20대 후반 부터 보통 일반 성인들이 흔히 하는 말이 한 가지 있습니다.
나이 먹어서 더 힘들고 빨리 지친다!
대부분 동의 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100% 공감합니다. 하지만 기억나시나요? 10대, 20대까지만 하더라도 피곤함을 모른 채 생활했던 기억들이 많으실 겁니다. 여기서 의문점이 한 가지 생깁니다. 우리는 100% 나이를 먹기 때문에 더 힘들어지고 지치는 것일까요?
위 질문에 대한 대답을 이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아니다" 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체력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최대 산소 섭취량과(Vo2 max) 관계가 있습니다. Vo2max 가 높으면 지구력이 좋아지고 덜 지치게 되기 때문에 오랫동안 운동을 지속할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노화가 시작되면 섭취량은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됩니다.
위 그래프는 동일한 남성 5인에 대한 최대 산소 섭취량을 시간과 운동에 다른 변화량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Test 설명: 20살 5명의 참가자가 1966년과 1996년도에 각각의 테스트를 진행
1) 1966 Baseline: 약 3주 동안의 비활동적인 생활을 보낸 후 Test 실시
2) 1966 After Training: 1번 완료 후 8주 동안의 운동 진행 후 Test 실시
3) 1996 Baseline: 30년 후 Test 실시
4) 1996 After Training: 3번 완료 후 6달 동안의 운동 진행 후 Test 실시
TEST를 통해 보여주는 핵심은
3주간의 비활동적인 생활에 의한 결과와 30년 시간 흐름에 따른 결과를 비교할 경우 큰 차이가 없다는 것입니다.
활동적이지 않은 라이프 스타일로 인해서 최대 산소 섭취량은 예상보다 빨리 떨어진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30년 후에도 꾸준한 운동을 진행 한다면 섭취량의 수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젊은 시절을 회상하면 항상 바쁘게 움직이고 놀러 다니면서 시간은 항상 부족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은 너무나 어려워진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3. 노화의 속도를 지연 시킬 수 있는 방법: 운동?
그래프를 보면 30살과 70살때에 시간 차가 불과 2.5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관리와 운동을 통해서 노화의 속도를 늦추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80세 이후부터는 빠르게 그 차이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전문 운동선수들처럼 체계적인 운동을 경험한 적이 없기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꾸준한 활동으로 젊었을 때의 체력을 다시 한번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알려 주고 있습니다.
4. 노화를 바로 보는 시각의 변화
자연스럽게 나이를 먹으면서 체력은 떨어지고 이전과 다르게 신체적인 문제가 생길 경우, 우리는 노화가 왔다고 자연스럽게 생각하게 됩니다. 이 영향으로 우리는 더 빨리 늙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게 됩니다. 노화를 막을 수 는 없습니다. 하지만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생활 패턴을 선택하고 운동이라는 것과 가깝게 지낸다면 좀 더 즐길 수 있는 노화의 단계를 밟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것 같습니다.
오랫동안 사랑하는 사람_(장애인 長愛人)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들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롭게 알아 가고 있는 장애인! 그 과정 속에서 겪은 경험에 대한 이야기, 장애인의 현실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 그리고 장애인을 바라보는 비장애
justableman.tistory.com